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여랑야랑 정치부 김철중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이번엔 스트라이크. 오늘 윤석열 대통령의 시구가 있었는데 진짜 스트라이크 였나요?<br> <br>오늘이 프로야구 개막일이었죠. 대구 개막전에 윤석열 대통령이 시구자로 깜짝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남색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그라운드에 들어선 윤 대통령. <br> <br>마운드 앞에서는 긴장한 듯 미소를 짓기도 했지만요. <br> <br>잠시 뒤 안정적인 투구폼으로 던진 공은 스트라이크 존을 지나 포수 글러브에 제대로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시구 연습을 20번 정도 했다고 하는데요. 연습 때도 환호성이 터져나왔습니다.<br> <br>[윤석열 대통령] <br>"한번 던져 보실래요? <br>(좋습니다) (오~짝짝짝) (나이스볼)" <br><br>허구연 한국야구위원회(KBO) 총재는 '역대급 돌직구'라고 말했습니다.<br><br>Q2. 원래 윤 대통령은 원래 야구광팬으로 알려져 있잖아요. 이전에도 야구 관련 언급들이 많이 했었죠.<br> <br>네, 윤 대통령은 야구 명문으로 알려진 충암고 출신이죠. <br> <br>대선 후보 시절에 모교의 야구부 후배들을 격려하기도 했고, 직접 야구장 관람에 나서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윤석열 /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(지난 2021년)] <br>"학교에 가면 의자 밑에다가 엉덩이 밑에다가 야구 글러브 깔고 앉아서 수업 들을 정도로 야구광이었습니다. 지금 안타가 나온 모양인데 빨리 가서 좀 봅시다. 하하" <br> <br>윤 대통령은 오늘도 시구에 앞서 야구 원로들과 만남을 가졌다고 하는데요. <br><br>이 자리에서 "대학 시절 법대 야구부에서 활동했었다"는 사실도 밝혔다고 합니다.<br><br>Q3. 과거에도 몇몇 대통령들이 시구를 했는데, 오늘은 다른 모습이 있었나요? <br><br>네, 현직 대통령이 개막전 시구를 한 건 28년 만입니다. <br> <br>1982년 프로야구 원년에 전두환 전 대통령, 1995년 개막전에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 입니다.<br><br>노무현 박근혜 문재인 3명의 전직 대통령도 시구를 하긴 했지만, 개막전은 아니었습니다.<br> <br>오늘은 특히 김건희 여사와 동행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는데요. <br> <br>과거에도 대통령 부인들이 관중석에서 함께 관람한 적은 있었지만요. <br> <br>오늘처럼 함께 그라운드를 밟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<br>Q4.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OOO도 '이재명 공방', (공개)재보궐도 '이재명 공방'이네요. 오늘 5일, 올해 상반기 재보궐 선거가 있죠? <br><br>네, 다음주 수요일이죠. 전국 총 9곳에서 재보궐 선거가 치러집니다. <br> <br>어제부터 오늘까지 재보궐 선거 사전 투표가 진행 중인데요. <br> <br>여야 지도부가 유세에서 공통적으로 이재명 대표를 언급했는데 그 이유는 확연히 달랐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지난달 24일, 울산 지원유세)] <br>"이재명 생각해서라도 최덕종 찍어라 이렇게 말씀해주시겠습니까. 최덕종 기호 1번 후보가 이겨야 이재명이 이기는 것입니다." <br> <br>[김기현 / 국민의힘 대표(어제, 울산 지원유세)] <br>"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아무리 커다란 범죄 혐의가 있다 하더라도 전부 국회에서 방탄조끼 입혀버리고" <br><br>Q5. 여당은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을 심판하자, 야당은 이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자 이런 취지인 셈이네요. 여야는 오늘도 날선 비판을 쏟아내고 있네요.<br> <br>그렇습니다. 오늘이 또 만우절이잖아요. <br> <br>국민의힘은 대장동 수사와 관련해 이 대표가 거짓말만 하고 있다며 "1년 365일을 만우절처럼 살고 있으니 이쯤 되면 이름 석 자조차 믿어도 될지 모르겠다"고 비꼬았습니다.<br><br>그러자 민주당은 여당 인사들의 잇따른 발언 논란을 걸고 넘어지며 "막말 인사의 집합소이자 쓰레기장을 방불케 한다"고 응수했습니다.<br> <br>여야가 정쟁에만 물두하면 재보궐 선거에 대한 관심은 더욱 줄어들 수밖에 없겠죠. <br><br>이번 선거 만큼은 제대로된 지역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마음을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.(지역일꾼)